서울시, 코로나 속에서도
6년 연속‘국제회의 개최 세계 3위 도시’선정
- 2020년 온라인‧하이브리드 행사를 포함한 국제회의 개최 실적 세계에서 3번째로 많아
- 코로나 팬더믹 속에서도 민간 MICE 행사의 온라인화 적극 지원정책 펼친 값진 성과
- 지난해 MICE 분야 국제상(ICCA BEST Marketing Award) 석권에 이어, 최고의 MICE 도시 명성
□ 서울특별시(이하 서울시)가 지난 한 해 코로나19 팬더믹 상황 속에서도 세계에서 3번째로 국제회의를 많이 개최한 도시로 선정되었다.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 연속이다.
□ 6월 18일(금), 국제협회연합(UIA,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)이 발표한 『국제회의 통계 보고서』에 따르면, 서울시는 2020년 150건의 국제회의를 개최하여 3.5%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세계 3위의 국제회의 개최도시로 선정되었다.
○ 주요 도시별 순위는 1위 싱가포르(780건), 2위 브뤼셀(290건), 3위 서울(150건), 4위 도쿄(122건), 5위 비엔나(109건) 순이다.
□ 국제협회연합은 2020년 한 해, 전 세계 802개 도시에서 개최된 국제회의는 총 4,242건으로,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년대비(2019년 12,472건) 66% 감소한 수치라고 밝혔다. 본 수치는 현장에서 개최되는 행사 외에, 온라인(Virtual)과 하이브리드(Hybrid, 현장‧온라인 동시 개최) 형식으로 개최된 국제회의를 모두 포함한 것이다.
□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지난해부터 코로나 위기를 돌파하고자 기존 현장행사 중심의 지원정책을 온라인‧하이브리드 행사까지 확대하는 등 민간 MICE 행사의 온라인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.
○ 서울시는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2020년 국제회의 분야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‘ICCA BEST Marketing Award(국제컨벤션협회 마케팅 최우수상)’ 수상을 비롯, 6년 연속 ‘세계 최고의 국제회의 도시(Best International Meeting Destination)’ 등 MICE 분야의 권위 있는 상을 연속 석권하며 세계가 인정하는 최고의 마이스 도시로서의 위상을 확인받은바 있다.
□ 주용태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“코로나19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발 빠르게 온라인 등으로 개최 방식을 전환한 덕분에 서울 MICE의 국제적인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된 반가운 소식”이라며, “코로나 이후 새롭게 재편되는 MICE 시장에서도 가장 먼저 찾고 싶은 도시, 안전하고 스마트한 MICE 도시 서울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”고 덧붙였다.